서교예술실험센터에서 한 해 동안 진행한 다양한 활동을 담아낸 애뉴얼 리포트로, 익년도 1-2월 경 발간합니다. 센터 공간 소개, 공동운영단 활동 및 공동운영단 기획 사업부터 서교예술실험센터에서 수행 중인 다양한 서울문화재단 지원 사업(시각 분야)까지 센터를 중심으로 진행된 일 년 간의 활동들이 ‘애뉴얼 리포트’ 한 권 속에 온전히 담겨 있습니다. 발간물은 서교예술실험센터 1층 예술다방을 방문하시면 열람 가능합니다.
문화예술인으로 구성된 문화예술 민관 거버넌스 ‘공동운영단’을 중심으로 홍대 앞 문화예술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활동 중인 서교예술실험센터는 예술현장에 필요하지만 아직은 만들어지지 못한 새로운 지원방법론에 대해 예술인과 서교예술실험센터가 함께 고민하며, 이에 가장 부합하는 사업을 만들기 위해 매년 새로운 사업들을 시도 중입니다.
[공동운영단 기획사업]
<공성장형 창작지원사업 링크(LINK)>
공성장형 창작지원사업 <링크(LINK)>는 ① 결과 중심이 아닌 과정 중심 ② 다른 예술가와의 자유로운 네트워크와 협업을 통한 창작 의지 고취 ③ 때로는 장르별로, 때로는 탈장르로 이합집산할 수 있는 프로그램 ④ 집중적인 전문가 크리틱을 통한 창작 역량 강화이며, 최종적으로는 사업에 관계된 모든 사람들이 공(共)성장 할 수 있는 장 마련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서교멤버십: 서로’는 더 많은 문화예술계 종사자들과 함께 서교예술실험센터와 예술 현장의 당면 문제들을 고민하고 공간을 기반으로 경계 없이 관계를 맺고자 2021년 시작되었습니다. 멤버십 가입자 대상 전용 공간을 제공하고 다양한 성격의 멤버십 연계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플랫폼 운영>
홍대앞 예술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거점공간으로서의 지속가능한 활동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안전한 창작공간을 만들어가기 위해 2020년 ‘모두의 서교’ 사업을 통해 완성된 선언문과 점검표를 적용하고 관련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합니다. 지역 주체들과의 교류와 소통을 통해 지역성을 확보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합니다.
이전 기획 사업 보기닫기
<작은예술지원사업 ‘소액多컴’>
2013년부터 홍대 지역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소소하지만 창의적인 문화예술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 중인 ‘소액 지원 사업’입니다. 복잡하고 까다로운 지원 방식, 점점 대규모화 되어가는 지원 제도의 문턱을 낮춰, 예술가들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실현할 수 있도록 100만 원을 지원합니다. 작지만 소중한 예술가들의 프로젝트가 오늘도 계속될 수 있기를 응원합니다.
2020년도 소액多컴 선정작 자세히 보기 닫기
1차
2020년도 소액多컴 선정작표: 1차, 선정자(단체)명, 프로젝트명 ,장르로 구성
선정자(단체)명
프로젝트명
장르
박지혜
생활의 지혜
시각
신지언
저 여기 있습니다
시각
이성직
아프면 낫는다 건강백세!
기타
이해동
Sound Ceremony (소리의식)
기타,음악
이해련
Summer Cheer
시각
한솔비
에고쿠키 프로젝트 Ego Cookie Project
시각
Dhaami Chang
전 / 조금 덜 전/ 아주 조금 덜 전 / 아주 아주 조금 덜
시각,영상
IDLE
쉼과 강박
시각,영상
2차
2020년도 소액多컴 선정작표: 2차, 선정자(단체)명, 프로젝트명 ,장르로 구성
선정자(단체)명
프로젝트명
장르
노지영
EXIST : 존재증명
시각
박선유
LOOK_차원의 눈
기타,영상,음악
서태리
하나의 몸으로 2인무 안무하기
무용,음악
손준우
식(食)극(劇)(가제)
기타,시각,연극
윤윤상
보살님! 제가 예술가가 될 운명인가요?
시각
이단
HUMAN NOSEWORK TRAINING - 인식 확장하기
기타
이미선
버섯장례식
시각
장희진
새벽을 녹이는 방법
시각,영상,음악,전통예술
<예술가 교육 프로그램 ‘아고라’>
‘아고라’는 수직 | 일방적 교육이 아닌 수평 ㅡ 상호적 교육을 지향합니다. 예술가가 지원 사업의 수혜자로만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배움을 동료 예술가들과 함께 나누고, 서로가 서로에게 배움이 되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열린 형태의 공유 플랫폼을 만들고자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중입니다.
신진 인디 뮤지션과 그들의 음악을 대중들에게 소개하는 프로젝트로, 2019년도에는 <New Playlist> 인디음악 페스티벌을 개최하였고, 2020년도에는 씨드(seed) 자료가 될 수 있는 영상 콘텐츠 제작 및 웹툰 제작을 지원합니다. 대중에게는 삶의 영감이 되는 취향과 취미의 발견을, 인디뮤지션들에게는 새로운 팬층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서교예술실험센터의 빈 공간을 예술가들과 함께 공유하기 위해 시작한 ‘공동운영단 기획 사업’입니다. 센터 공간을 여러 개의 ‘실험실’로 구획한 후, 예술가들이 다양한 시도/실험/실패를 마음껏 할 수 있도록 공간을 공유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새로운 작업 변화를 시도하는 예술가, 머릿속으로만 구상하던 아이디어를 직접 실현하기 위해 실제 공간이 필요한 예술가라면 누구나 지원 가능합니다. 독립적인 실험실(아트인포)부터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들과 같은 공간을 나눠 쓰며 자연스럽게 탈 장르적 교류를 꾀할 수 있는 열린 실험실(1층 예술다방 및 전시장, 지하 다목적실)까지 다양한 공간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2018년부터는 실험의 변화 과정을 체계적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실험기간’ 중 아카이빙 촬영을 함께 지원하고 있습니다.
<홍대 앞 공간교류사업 ‘같이, 가치’>
홍대 앞에서 자생적으로 활동 중인 다양한 복합문화공간들과의 교류를 꾀하는 홍대 앞 공간 교류 사업입니다. 매년 ‘공통 키워드’를 설정한 후, 해당 주제에 공감하는 홍대 앞 공간들과 함께 공통의 관심사를 나눌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라운드테이블, 포럼 등)을 진행합니다.
<미디어소통사업 : 팟캐스트 ‘서교뒷방’>
예술인들이 함께 센터 운영자로 참여하는 ‘공동운영단’ 운영 시스템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공공기관으로서의 딱딱한 이미지와 보이지 않는 진입장벽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이미지에서 탈피하기 위해 2018년 6기 공동운영단이 기획 후 운영한 사업입니다. 팟캐스트 ‘서교뒷방’은 이름처럼 서교예술실험센터의 후미진 뒷공간 창고에서 B급 감성의 유쾌한 수다와 단지 수다로만 끝나지는 않는 주옥같은 정보와 소식까지. 공동운영단 멤버 3인이 직접 팟캐스트 운영자가 되어 예술가들 그리고 예술에 관심 있는 모든 사람과 함께 유연하고 편안하게 소통하고자 매월 진행하는 미디어 채널입니다.
<미발표음원 지원사업 ‘미원창고’>
일반 대중에게 들려줄 기회가 없었던 신인 인디 뮤지션의 미발표 음원을 모집하여 오프라인 공간(서교예술실험센터 및 홍대 앞 복합문화공간)에서 재생하고, 라이브 공연 기회를 제공하는 뮤지션 대상 지원 사업입니다. 이 외에도 시각 분야 예술가와의 1:1 매칭 협업을 통해 음악 활동을 위해 필요한 제반사항(2017년 앨범 자켓 디자인, 프로필 사진, 라이브 영상 클립 중 택 1 / 2018년 라이브 영상 클립)을 지원하며, 인디 뮤지션들이 자생적으로 활동해 나가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음악 관계자들과의 네트워크 파티 등을 제공합니다.
<아카이브 프로젝트 ‘A/S(After Show)’>
2017년 4-5월 진행된 아카이브 프로젝트입니다. 도록, 리플렛, 포스터 등 전시 기록물을 수집하여 지난 전시를 다시 한 번 소개하는 아카이브 프로젝트입니다. 기록물 전시 외에도 관람객들이 직접 전시 기록물을 선택하여 나만의 컬렉션을 제작(스크랩, 제본 등) 할 수 있는 <커스텀 북 제작 코너 : 괜찮은 뒷북(book)>도 함께 운영됩니다. 관람자들은 전시 서문을 수집할 수도, 혹은 좋아하는 장르의 이미지만을 골라 스크랩북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과거에만 머물러 있던 지난 전시의 기록물들을 새롭게 재구성 지역·재편집하여 현재로 불러내고자 합니다.
[서울문화재단 시각 분야 지원 사업]
<서울청년예술단>
단기 예술 경력을 보유한 청년 예술 단체들이 지속적으로 예술창작활동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안정적인 창작활동을 위해 단체 구성원에게 월별 정기적으로 활동비를 지급하며, 연중 진행하는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사업비를 함께 지원합니다.
<최초예술지원>
공공지원금 수혜 경력이 없는 시각 분야 신진 예술가를 대상으로 서울 전역에서 이루어지는 순수 창작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작품 창작뿐만 아니라 순수 예술창작을 위한 세미나, 워크숍 등의 사전 연구 활동도 지원합니다.
<유망예술지원사업(시각) 99℃>
데뷔 10년 이내의 왕성하게 활동 중인 유망 예술가를 대상으로 신작 제작 및 발표를 위한 제반사항을 2년간 집중 지원하는 다년 차 지원 사업입니다. 1차 연도에는 신작 제작을 위한 창작지원금과 제작 과정에서 필요한 전문가 크리틱, 기술 워크숍 등 개인별 맞춤형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신작 일부를 발표할 수 있는 단체전을 지원합니다. 2차 연도에는 완성된 신작을 발표하기 위한 개인전 개최 비용 및 전시공간을 지원합니다.
<예술작품지원사업(시각)>
시각 예술가 또는 전시 기획자를 대상으로 창작 및 전시 개최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시각예술 중견작가작품집 발간지원>
경력 15년 이상의 중견 시각 예술가를 대상으로 현재까지 작업한 본인의 전체 작품을 체계적으로 기록·정리하여 작품집으로 발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인디음악 생태계 활성화 사업 <서울라이브>
<서울라이브>는 인디 뮤지션, 엔지니어, 디자이너, 기획자 등 인디음악 생태계 구성원들의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고 촉진시키기 위해 2019년부터 시작된 서교예술실험센터의 새로운 사업입니다.
[지원사업]
<인디뮤직 D.I.Y 프로젝트>
기존의 틀에 들어맞지는 않지만, 인디음악 생태계를 보다 창의적으로 살찌울 수 있는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자발적 인디뮤직 기획 프로젝트를 지원합니다. 비주얼 아티스트와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앨범 커버를 디자인하는 것부터, 인디음악과 관련된 유튜브 채널 / 팟캐스트 / 매거진을 만드는 것까지. 심지어는 공연을 위한 의상을 만들거나 새로운 음악을 만들기 위한 국내외 리서치까지 가능합니다. 참신한 아이디어와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실행계획만 있다면 뮤지션, 기획자, 팬을 가리지 않고 누구나 지원할 수 있습니다.
2021닫기
2020닫기
2019닫기
<라이브 기획공연 지원>
<서울라이브>의 또 하나의 주제는 ‘소규모’로 이루어지는 공연에 대한 지원입니다. 두 번째 지원트랙인 <라이브 기획공연 지원>에서는 인디씬의 교류 활성화에 기여하는 국내 뮤지션들 간의 또는 국내외 뮤지션들 간의 교류 공연을 지원합니다.
2021닫기
2020닫기
2019닫기
<소규모 인디뮤직 페스티벌 지원>
굵직한 해외뮤지션의 내한공연, 거대한 음악 페스티벌도 물론 중요하지만, 우리가 상상하는 음악도시의 모습은 일상 속에서 좀 더 풍성하고 다양한 이벤트들이 끊임없이 펼쳐지고 이를 함께 즐기고 나눌 수 있는 도시입니다. <서울라이브>에서는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서 인디씬 내 양적, 질적 다양성 확보 및 새로운 흐름 구축을 위한 작은 페스티벌 기획을 지원합니다.
※ 다수 지역공간의 연계가 필수적인 소규모 인디뮤직 페스티벌은 ‘코로나19’로인해 2021년에 한해 지원하지 않습니다.
2020닫기
2019닫기
[기획사업]
<인디뮤지션·기획자 역량강화 프로그램 ‘서울라이브 B-side’>
뮤지션 및 기획자를 대상으로 주제별 실무능력 향상과 인디음악 생태계의 주 구성원으로 지속적인 활동에 동기를 부여하고자 워크숍 및 강연 등의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서울라이브>의 2021년 기획사업입니다.
이전 기획 사업 보기닫기
<인디뮤지션 역량강화 영상콘텐츠 제작사업 ‘서울라이브 B-Side’>
‘인디뮤지션을 위한 생존스킬’이라는 콘셉트로 인디뮤지션으로 활동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주제들을 선정하여 각 주제별 전문가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는 <서울라이브>의 2020년 기획사업입니다. 인디음악계에 진입하고자 하는 신진 인디뮤지션 뿐만 아니라 기존에 활동 중인 인디뮤지션, 인디음악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궁금해 할 만한 이야기들을 담아 영상콘텐츠로 제작하여 서울문화재단 스팍TV를 통해 공개합니다.
서울라이브 B-Side 영상 보러가기
<오비맥주 협력 인디뮤지션 공연영상콘텐츠 제작사업>
서울문화재단과 오비맥주의 글로벌 브랜드 ‘버드와이저’가 함께 국내 인디음악계를 위한 ‘인디뮤지션 공연영상콘텐츠 제작’ 사업을 진행합니다. 본 사업은 코로나19로 인해 피해를 입은 젊은 예술가를 지원하기 위해 진행했던 기부 캠페인 ‘스테이 스트롱(Stay Strong)’의 모금액으로 진행되며, 기존에 인디뮤지션들의 라이브 영상을 만들어왔던 세 채널 ‘계절라이브’, ‘생기스튜디오’, ‘신촌전자’가 국내 인디뮤지션 9팀의 라이브 영상콘텐츠를 각 채널의 개성이 담긴 영상으로 제작합니다. 제작된 영상은 2020년 하반기에 각 채널에서 순차적으로 공개됩니다.
라이브 영상 콘텐츠 보러가기
서교예술실험센터 운영모델 개발 연구
<서교예술실험센터 운영모델 개발 연구>는 민관 거버넌스 8년차에 접어든 서교예술실험센터의 운영성과를 점검하고 앞으로의 운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입니다. 당사자주의를 반영하여 현장 주체인 공동운영단을 중심으로 연구를 추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