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청·참여
재단 프로그램
-
즐겨찾는 메뉴
현재 페이지를 즐겨찾는 메뉴로 등록하시겠습니까?
등록한 순서대로 최근 5개 메뉴가 노출됩니다.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제 1 유형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25 문학으로 모이는 방법들
-
프로그램 일시
2025.10.29~10.31 / 11.27,11.29
- 문의처연희문학창작촌(02-324-4600)
- 선정기준 선착순
- 대상 예술가 및 일반인
○ 신청 링크 안내 : https://forms.gle/nQcWRWKwwMAKF3zcA
문학으로 모이는 방법들 2025
Gatherings through Literature
2025.10.29 ~ 10.31 연희문학창작촌, 복합문화공간 연남장
2025.11.27, 11.29 서울문화재단 대학로센터
연희문학창작촌은 2025년 가을, 문학을 중심으로 모일 수 있는 자리들을 마련했습니다. 저희는 읽고 쓰는 경험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는 장소와 지면을 지원합니다. 문학의 경계를 끊임없이 넘어서는 새로운 시도까지 아우르고, 서로 다른 분야에서 활동하는 작가들 사이의 직간접적인 교류를 주선하기도 했습니다. 올해에는 독자, 시민, 예술가들을 직접 만나고, 조금 다르게 가닿을 자리를 제안드리게 되어 기쁜 마음입니다. 다섯 번의 모임과 하나의 소책자를 통해 10월과 11월의 마지막 주에 반갑게 인사 나누겠습니다.
* 서울문화재단 연희문학창작촌은 문학 작가들을 위한 레지던시 공간을 운영하고, 웹진 《비유》를 만듭니다. 다양한 장르의 문학 작품을 창작하는 작가들을 지원하고, 한국어로 된 문학 신작과 언어 텍스트 기반의 창작 활동을 게재하는 온라인 매거진을 발행합니다.
Seoul Art Space Yeonhui is hosting a series of gatherings in the fall of 2025, creating spaces where literature can bring people together. We support places and platforms that allow the experience of reading and writing to unfold freely. Our work embraces new experiments that continuously cross the boundaries of literature and fosters both direct and indirect exchanges among writers from different fields. This year, we are delighted to invite readers, citizens, and artists to meet in person and to share new forms of encounter. Through five gatherings and a small booklet, we look forward to welcoming you in the final weeks of October and November.
* Operated by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Seoul Art Space Yeonhui runs a residency program for literary writers and publishes the online magazine Webzine《VIEW》. We supports authors across diverse literary genres and provides an open platform for new works in Korean as well as creative practices rooted in language and text.
[1회차]
페이지 위의 삶
—서울문화재단〈마스터피스 토크〉시리즈
• 일시: 2025.10.29(수) 13시–15시
• 장소: 연희문학창작촌 야외무대
• 형식: 토크
• 모더레이터: 신수정
• 작가: 김상미, 이재복, 한영옥
• 프로그램 소개:
세 명의 원로 작가 각각의 삶의 여정 속에서 문학 창작 활동을 돌아본다. 최근에 발표한 책 이야기도 빼놓을 수 없다. 어린이·청소년문학 작가 이재복, 시인 김상미와 한영옥이 참여하고, 신수정 문학비평가가 대화를 진행한다.
[2회차]
문학적 쇼
—연희문학창작촌×서촌코미디클럽 협력 기획 공연
• 일시: 2025.10.30(목) 19시–21시
• 장소: 복합문화공간 연남장
• 형식: 스탠드업코미디 공연
• 사회자/기획자: 서촌코미디클럽
• 코미디언: 서효인, 안담, 김염지, 김승일, 김새섬, 김영민, 안평, 박철현, 강안리, 정성은, 김수지, 박재용
• 프로그램 소개:
웃기는 저자들이 무대에 모인다. 서효인, 정성은, 김영민, 김승일, 안담, 박철현. 여기에 북튜버 안평, 연극인 김염지, 회사원 김수지, 큐레이터 박재용, 문학을 사랑하는 코미디언
강안리, 그리고 팟캐스트 〈암과 책의 오디세이〉의 진행자 김새섬까지 합류한다. 스탠드업 코미디와 문학의 경계에 선 이들이 각자 6분 동안 자신만의 이야기를 스탠드업 코미디로 풀어낼 예정이다.
“서촌코미디클럽은 스탠드업 코미디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이는 곳이지만, 일반 코미디클럽과는 조금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바로, 웃음을 연마하는 게 직업인 코미디언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보다는, 코미디와 가장 멀게 느껴지는, 절대 코미디를 안 할 것 같은 사람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더 궁금해하는… 그런 코미디클럽이라고 해야 할까요?”
[3회차]
10월에 말하는, 올해 쓸 것
—2025 연희문학창작촌 입주작가 토크
• 일시: 2025.10.31(금) 19시–21시
• 장소: 복합문화공간 연남장
• 형식: 토크, 음악 연주
• 모더레이터: 민병훈
• 작가 및 음악: 함윤이, 송희지, 소유정, 공중그늘
• 프로그램 소개:
연희문학창작촌 올해 입주작가 소유정, 송희지, 함윤이 작가가 조금 이른 연말 모임처럼 모인다. 작업 중에 즐겨들었던 공중그늘의 음악 연주도 현장에서 같이 들으며, 작업실 공간 혹은 연희에서의 경험을 이야기한다. 올해 두 달이 남은 이때, 지금 쓰고 있는 것과 쓰기 시작할 것에 대해서도 대화 나눈다. 이 자리는 민병훈 소설가가 진행한다.
[4회차]
문학×웹진 만들기의 협상들
—웹진《비유》제작 과정 살펴보기
• 일시: 2025.11.27(목) 19시–21시
• 장소: 서울문화재단 대학로센터 세미나룸
• 형식: 발제, 라운드테이블
• 모더레이터: 김신재, 성연주
• 발표자 및 토론자: 소영현, 김신식, 백다흠, 서윤후, 서호준, 김진주
• 프로그램 소개:
웹진 《비유》가 지금까지 해온 것, 하고 있는 것, 앞으로 할 수 있는 것에 대해 대화 나눈다. 온라인 매거진 제작 과정에는 여러 분야에서의 협력이 수반된다. 《비유》 제작에 참여한 편집위원에서부터 다른 문예지, 다른 온라인 플랫폼 제작 경험자들과 함께, 그 구체적인 협상의 면면을 살펴본다. 이 자리에서 나눈 이야기는 77호 〈사회/ 커뮤니케이션〉의 ‘문학하는 사람들’ 시리즈에서 글로도 만나볼 수 있다.
[5회차]
같이 읽기
—웹진 《비유》 중심으로
• 일시: 2025.11.29(토) 14시–16시30분
• 장소: 서울문화재단 대학로센터 렉처룸
• 형식: 발제, 토크
• 모더레이터: 전승민
• 발표자: 오석화, 이미상, 이하나
• 프로그램 소개:
웹진 《비유》에 게재되었던 작품들 중에서 일부를 주제별로 묶어서 같이 읽는 자리이다. 필진에 따라, 작품들을 엮어 보는 각기 다른 관점을 제안한다. 이 읽기 모임에서는 오석화 시인이자 비평가, 이미상 소설가, 이하나 비평가가 각각 같이 읽어보고 싶은 작품들을 엮어 이야기를 건넨다. 작품 리스트는 사전에 공지될 예정이라, 독자들이 대화에 적극 참여할 수 있다. 77호 ‘《비유》 큐레이션’에 세 편의 글로도 게재될 예정이다.
[소책자]
가장자리의 책
—웹진《비유》다시 읽기
• 기획자: 남지은, 신예슬
• 프로그램 소개:
『가장자리의 책』은 웹진 《비유》 에서 처음 제작한 작은 소책자이다. 웹진 《비유》는 활자들 사이에서 태어나는 새로운 목소리,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머물고 있던 목소리, 어딘가의 그늘에 가려진 작은 이야기들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장소가 되길 바란다. 이 작은 책은 편집부에서 지난 7년여간 발행한 1호~75 호까지의 원고들 중 발췌문들을 고르고, 배치하며, 《비유》가 펼쳐온 둘레와 너비를 가늠해보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이 종이책이 온라인 매거진으로 이어지는 통로가 되길 기대한다.
<신청 안내>
• 1~3회차 프로그램 신청: 10월 15일(수) 오전 10시 오픈, 신청일에 본 게시글 하단에 신청 링크 공유 예정
• 4~5회차 프로그램 신청: 11월 6일(목) 오전 10시 오픈, 신청일에 게시글 하단에 신청 링크 공유 예정
※유의사항: 온라인으로만 신청이 가능하며, 모든 프로그램은 선착순 마감(현장 접수 불가)
<오시는 길>
• 연희문학창작촌
서울시 서대문구 증가로2길 6-7 / 02-324-4600
• 연남장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로5길 22 / 02-3141-7978
• 서울문화재단 대학로센터
서울 종로구 동숭길 122 / 02-758-2000
* 본 행사는 2025 서울 아틀리에 투어의 일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