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너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메뉴 바로가기

[연극인이 만난 사람] 김보람 x 염문경

다재다능한 멀티플레이어? 아니, 그냥 자영업자!

염문경, 김보람

제196호

2021.03.11

문경
소개부터 하자면, 전 정체성이 모호한 창작자고요. 민망스럽게도 연극을 못한지는 2년이 넘었네요. 최근엔 독립영화를 하고, EBS 펭TV 팀에서 방송 조금 하고, 어쩌다보니 운이 좋아 <내향형 인간의 농담>이란 책을 내게 된 배우/작가입니다. 감독이라고는 차마 스스로 못 칭하겠어요.
보람
출간 축하드려요.
문경
감사해요. 오랜만에 뵙네요. 다큐멘터리 <피의 연대기> 감독님이시고, 2020년 서울국제여성영화제에서 제 단편 <백야>와 감독님 단편 <자매들의 밤>이 함께 제작되었지요. 직접 자기소개 해주신다면요?
보람
저는 스스로 자영업자라고 생각하고,
문경
자영업자란 말을 쓰시는군요!
보람
네... 자영업자 김보람입니다.
문경
(웃음) 영화 자영업을 하시는 거죠.
보람
영화로 먹고 살아야 영화를 한다고, 직업이라고 할 수 있을 거 같은데... 그렇진 않아서, 다양한 일을 하는 자영업자라고 말합니다. 감독이라지만 사실 일을 따와서 기획하고 제작, 정산하고 스탭들이 다 떠나도 전 유통 과정을 계속 책임져야 하고, 돈이 없을 땐 홍보나 캠페인 영상도 하고요, 그러다보니 이건 물건을 생산해서 소비자와 만나는 자영업자와 가깝다 싶었어요.
김보람
김보람
문경
저도 저를 규명할 말을 잘 못 찾겠어서 명함을 만들고 ‘다목적 프리랜서 배우’라고 새겼던 적이 있어요. 어쨌든 제 정체성은 배우인데, 다른 일들이 훨씬 돈이 됐거든요. 글 쓰는 일도 시작은 생계 개념이었고요.
보람
지원금 말고 누가 저한테 돈 주고 감독하라고 하는 일은 없거든요. 제작 자영업자, 소규모 제작자에 가깝다고 생각하지 않으면 너무 스트레스 받는 일이 많아서...
문경
맞아요 맞아요 맞아요
보람
그래서 <피의 연대기>에도 제 직업이 자영업자라고 떠요 영화감독이라고 안 뜨고.
문경
그때부터 그렇게 생각하셨군요!
보람
거기에 정체성을 두면 약간 혼란이 오는 것 같아서.
문경
그거 좀 건강한 거리두기인 것 같아요. 전 이 <내향형 인간의 농담>이라는 에세이집을 쓸 땐 몰랐는데, 편집부가 보시더니 어딘가 거리를 두려는 태도가 글 속에서 일관적으로 느껴진다는 거예요. 사실 이 책엔 제가 배우로서 겪은 고통스러운 일들이 많이 담겨 있거든요. 거기에 너무 절 가깝게 두면 자꾸 마음이 데이는 부분이 많으니까, 저도 모르게 거리 두는 태도를 계속 연습했나 봐요. 방어기제이기도 하겠지만, 어떻게 보면 제가 서른 몇 살까지 살아남은 나름의 방식이구나 싶어요. 스스로를 프리랜서라고 명명하는 것도 비슷한 일이에요. 왜냐면 전 배우로서의 정체성을 가장 가깝게 생각하지만 실제로 벌어먹고 사는 일하고는 또 가장 머니까... 오히려 거리를 둬야 지속 가능해지는 부분도 있는 것 같아요. 그런 의미에서 자영업자라는 단어가 참 공감 가네요.
보람
그렇군요. 저도 비슷한 지점이 있는데, 전 사실 오랫동안 소설을 썼었어요. 고등학교도 소설로 학교를 갔고요.
문경
그래요? 제가 정말 모르는 게 많았네요...
보람
대학도 소설 쓰는 과로 갔고. 그때만 해도 등단해야만 소설가가 된다는 생각이 있었어요. 그런데 등단을 못하던 차에 마침 다큐멘터리 제작사에서 작가가 필요하다고 해서 거기서 영화 일을 시작하면서 처음으로 다큐가 좋아진 거예요. 영화를 배운 적도 없고요. <피의 연대기>도 원래는 연출을 원했던 게 아니라 그냥 하고 싶던 기획이었는데, 분업이 잘 되어있지 않은 한국 독립영화계 구조상 결국 주변의 도움을 받아 제가 직접 감독하게 된 거죠.
염문경
염문경
문경
놀랐어요. 저는 사회초년생 때 <피의 연대기>를 너무 재미있고 대단하게 봤던 기억이 있어서... 막연하게 ‘이 분은 독립영화계에서 스타다!’ 라고만 생각했고, 당연히 영화연출과 이런 델 나오셨을 것이다 그랬죠. 그럼 오히려 다큐멘터리에서 극영화로 변주하신 게 아니라, 애초에 소설 쪽에서 넘어오신 거군요?
보람
근데 뭐 소설을 못했으니까. 뭔가 계속 잘 안 풀려서 넘어왔다는, 완수하지 못했다는 기분이 계속 있어요. 지금도 저는 소설이 제일 좋아요. 영화보다도 소설을 훨씬 많이 보고요. 할 수 있다면 사실 지금도 소설이 쓰고 싶지만... 아까 문경님이 배우 일에 대해 말씀하신 것처럼, 16살 때부터 7년이란 시간을, 너무 원했고 너무 가까이 소설만을 쓰는 사람들하고 지내면서 너무 크게 동경하고, 혹은 너무 크게 질투하고.
문경
맞아요.
보람
그러다보니 더 이상 소설을 쓰는 저 자신이 좋거나 내 작품이 맘에 들거나 하지 않았던 거 같아요. 근데 영화는 사실 뭐 영화씬에 친구도 없고 아는 사람도 선후배도 없고 질투, 경쟁, 비교할 사람도 없고 내가 못한다고 누가 나한테 뭐라고 할 것도 없었으니까. 그러니까 그냥 저 하고 싶은 대로 해서 훨씬 편했어요.
문경
신기하다. 전 영화계 핵인싸이신 줄 알았거든요! (웃음)
보람
(웃음) 아니에요 전혀.
문경
저야말로 씬에 인맥이 거의 없어서. 연극계에서도, 이후 영화계나 방송계에서도, 항상 아웃사이더, 발만 걸친 애라는 자격지심이 강했어요. 어중이떠중이처럼 보이나 싶고.
보람
제가 그랬어요 제가. 예를 들어 상을 받아도, 뒷풀이에 안 가고 혼자 맥도날드 가서 밥 먹고 들어가고 그랬어요. 그게 슬프지도 않았고 오히려 편하기도 했고요.
문경
책이 나오고 한 기자님께서 기사를 써주셨는데, 제가 쓴 저자소개를 인용하셔서 ‘오래 공들인 일보다 갑자기 찾아온 행운이 강력하다니, 젠장’ 이라고 헤드라인을 뽑아주셨더라고요.(웃음) 이게 헤드라인이라니 웃겼지만 좀 ‘젠장’이었던 건 사실이에요. 펭수 이후로 많이 마음이 불안했었으니까요. 이제 내 배우인생은 끝이다 이러면서... 근데 또 한편으론, 제가 작가로서 어떤 쓰임이 있는 건 제가 배우 일에 가졌던 그런 끈적한 욕망이 없어서인 것 같아요. 보람 감독님께 영화 일이 더 편했던 것처럼요. 그냥 일로서 할 수 있는 만큼 했고. 못하면 못할 수 있지 난 원래 작가도 아닌데 이런 맘으로 접근했던 거 같고. 역시 사람 일이란 게 뭐든 힘을 좀 빼야 되나 싶기도 하네요. 예전의 제게 연기는 보람 감독님의 소설과 비슷했어요. 너무 쏟은 게 많고 다친 것도 많으니 보상심리도 생기고 질투도 너무 많이 하고. 그런 끈적한 마음들을 버린 후에야 연기 자체도 훨씬 나아졌단 생각이 들어요. 너무 잘하고 싶은 배우의 마음은 결국 카메라에도 무대에도 티가 나는 것 같더라고요.
대화
보람
배우는 언제부터 하고 싶으셨던 거예요?
문경
대학교 연극동아리 때 처음 접했어요. 연기나 연극이라는 학문을 체계적으로 배우진 못한 채 그냥 사랑에만 빠진 거예요. 그 동료애와 순수성에만 매료된 상태로 오디션을 보겠다고 사회에 나왔던 거죠. 근데 아무 기반이 없잖아요 선배들도 없고. 그래서 그냥 인터넷에서 부딪히는 대로 찾아서 했죠. 그랬다보니 굳이 안 겪어도 되었을지 모르는 일들도 겪었어요. 어린 여성으로서든, 배우로서든... 연극계 미투 이후를 다룬 제 단편 <백야>도 사실 그런 경험들에서 비롯된 영화구요. 에세이집도 안 그래 보이지만 무거운 고발성 글이 가득해요. 페미니즘적 노선을 밟는 듯한 지금의 절 만든 원동력이 그때의 분노인 셈이죠. 어쩌다보니 페미니스트랄까.
보람
사실 저도 페미니즘적인 이야길 하겠다고 <피의 연대기>를 만든 건 아니었어요. 그냥 생리가 궁금하고, 2015년에 알게 된 생리컵이 너무 신기했고, 그래서 넷플릭스 느낌 나는 재밌는 다큐를 보다 대중적으로 만들고 싶었는데, 만드는 와중에 여성주의적 시각을 갖게 된 건 사실이죠. 친족 성폭력을 다룬 <자매들의 밤>도 원래는 단지 중년 여성들의 이야기를 해보고 싶다는 마음에서 시작됐구요. 뭔가를 쓰고 고민할 때 여성주의적인 태도는 있겠지만 그것만을 고려하진 않고요, 심지어 ‘흐름을 탄다’는 생각도 안 들어요. 왜냐면 <피의 연대기> 기획할 때만 해도 어디 가서 피칭하면 심사위원들 반응이 그랬거든요. 생리 얘기 절대로 사람들 극장에서 안 본다고.
영화<피의 연대기>(김보람 감독, 2018) 포스터
영화<피의 연대기>(김보람 감독, 2018) 포스터
문경
대놓고 그런 심사평을 했어요?
보람
네, ‘이건 극장까지 가야 지원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어렵다’ 그런 얘기.
문경
근데 잘됐잖아요!
보람
잘됐다고 하지만 사실 제작비 다 따져보면 저한테 남는 건 없고, 관련 빚을 작년까지 갚았어요. 어떤 이들이 우려한 것보단 잘 됐겠죠! 근데 전 독립영화 다큐씬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어서, 그땐 떼돈을 벌 줄로만 알았는데...(웃음)
문경
독립영화로 떼돈벌기가 참.
보람
몰랐죠. 어쨌든 제가 직접 SNS 등을 통해서 목소리를 내는 건 아직 어렵게 느껴져요. 너무 많은 일들과 해석들이 있는데 그걸 다 따라가기 힘들어서요.
문경
무슨 말씀인지 알 것 같아요. 창작자로서 어떤 노선으로 규명되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아 어려워질 때가 있지요. 작년에 제가 게이 로맨틱코미디 영화 각본을 하나 썼는데, 누가 기사를 낸 거예요. ‘펭수 작가 퀴어영화로 장편 각본 데뷔’ 이런 헤드라인으로. 댓글이 막, 펭수는 역시 동성애를 조장하는 캐릭터였다며 난리... 언젠가 페미로 찍힐 줄은 알았는데 퀴어로 찍히다니 생각지도 못했던 일이다 하하, 그랬었죠. 그 일 이후 앞으론 누가 나를 뭐라 규명하든 뭐, 받아들이자 하게 됐어요. 이를테면 제가 다음에 남성 주인공 서사를 쓴다고 하더라도, 어쨌든 제가 담고 싶은 이야기의 결은 변하지 않을 테니까요.
보람
맞아요.
대화2
문경
또 무슨 얘길 해볼까요. 혹시 다큐멘터리 연극이라는 장르를 보신 적 있으세요?
보람
없어요. 근데 들어보니까 재밌을 것 같아요,
문경
전 그런 작품을 꽤 많이 했어요. 제 개인의 서사를 장면화하는 거요. 근데 그런 걸 하다 보니 오히려 배우로서... 자꾸만 저 자신을 채굴해야 하는 게 힘들어지기도 하더라고요. 그래서 오히려 드라마를 더 좋아하게 돼버렸어요. 보람 감독님은 다큐와 극영화 두 장르를 오가시면서 체감 차이 같은 게 있으신가요?
보람
저는 반대로 소설 쓸 때는 나를, 내 상처를 써야 된다고 오래 생각했어요. 실제로 좀 어린 자아였던 것 같아요, 소설 쓸 때 저는. 그런데 영화, 다큐로 넘어오면서는 스스로가 안정적으로 변화하면서 더 이상 저 자신에게는 별로 관심이 없어진 상태에서, 남의 얘길 듣는 게 되게 궁금하고 좋아졌어요. 소설이 내 어린 자아를 극복하기 위해서 썼다면 지금은 그런 게 없으니까, 어떻게 보면 동일시가 안 되는 것도 있어요.
문경
좋은 확장이네요.
보람
다만 좀 답답한 건 어떤 일을, 작가생활부터 해서 2011년부터 했으니까 거의 십년 했는데도, 이 일로 내 스스로가 지원금 외의 돈을 벌지 못한다는 피로감이 너무 커요. 농담처럼 좀만 더 늙으면 못할 것 같다고(웃음). 제작사에서 진행비나 계약금 받고 글 쓰는 친구를 보다보면 가끔 제 상태에 대한 환멸 같은 게 느껴져요. 계속 지망생인 거 같은 느낌? 독립영화로는 사실 먹고 살 수 있는 구조가 아니잖아요, 내수가 워낙 작으니까. 시장에 편입된 게 아니라 시장 주변에서 왔다갔다하는 이 삶이 재미있고 좋으면서도 이젠 좀 피곤하기도 해요. 기약이 없는 삶이니까요.
문경
맞아요. 기약이 없다는 게 좀 절망적이죠.
보람
왜 다들 상업영화하러 가는지 알겠다 싶을 때도 있어요.
문경
이렇게 말해도 될지 모르겠지만 저는 제가 배우로서만 존재할 때 계속 그런 기분을 느꼈어요. 미세한 좌절감 같은 거요. 내가 업으로 생각하는 일 바깥에서 계속 생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거... 계속 자존감을 끌어올리려고, 괜찮아, 되뇌며 애써야 되는 일상이라 좀 지쳤던 것 같아요. 운 좋게 다른 일이 많아진 것도 사실이지만, 도망친 것도 사실이 아닐까 싶어서 괴로워요. 다리를 걸치지 않고 풍덩 빠져있는 사람들을 항상 동경하면서도 그 한쪽 걸친 다리를 거둘 수가 없었어요. 풍덩 빠졌을 때 내가 감당해야할 삶의 무게가 너무 엄청나게 느껴져서... 저는 어쨌든 다시 연극할 기회가 생기면 하고 싶어요. 근데 제가 동경하는 이 연극씬 자체는 사실 산업으로서의 기능이 너무 축소돼 있어요. 지원금으로 돌아가는 업계고요. 코로나가 닥쳤고.
에세이<내향형 인간의 농담>(염문경, 2021) 책표지
에세이<내향형 인간의 농담>(염문경, 2021) 책표지
보람
똑같네요, 독립영화랑.
문경
네, 독립영화랑 똑같아요. 그래서 ‘연극인이 만난 사람’에 저를 연극인으로 불러주셨을 때도 난감했어요. 나는 내가 연극인이라고 당당하게 말한 적이 한 번도 없는데! 누가 보면 욕할 것 같았어요. 그래서 조심스럽지만, 또 다들 비슷한 고민이 있으실 것 같아요. 그래서 업계 사람들은 계속 생태계를 고민하고 개선하려고 하고요. 연극엔 사실 영상매체가 가져갈 수 없는 본질적인 부분이 있는데, 정부에선 ‘영상송출해라’ 이런 식으로만 접근하니까 다들 되게 화나고 절망하는 시기를 겪는 것 같아요. 그 와중에 뭐라고 해보려고 발버둥 치며 여러 일을 전전했던 게 마치, ‘역시 MZ세대는 멀티잡이야’ 이런 식으로 라벨링된 것 같아서 가끔 웃플 때가 있어요.
보람
올해 계획은 어떻게 되세요?
문경
EBS에서 딩동댕대학교, 연애톡강 등의 유튜브 콘텐츠에 관여하면서 영화 시나리오 작업을 하려고 합니다. 배우 일도 계속 찾고요. 보람 감독님은 혹시 앞으로 새롭게 도전해 보고픈 일이 있으신가요?
보람
등단 같은 거 생각 안하고 그냥 재밌는 소설을 써보고 싶어요. 옛날엔 4대 문예지로 등단 안하면 소설가 아닌 것 같고 그랬거든요. 자비로 출판하는 사람들 비웃고.
문경
그런 분위기였구나. 지금은 자비출판 되게 많지 않나요?
보람
지금은 유통마진을 없애는 게 나한테 좋다는 걸 영화 유통하면서 느꼈기 때문에 기회가 된다면 자영업자로서 책도 팔아보고 싶다! 는 마음입니다.
문경
소설 나왔음 좋겠어요!
보람
저도 그랬음 좋겠어요.
문경
어떻게든 팔아보아요 우리. (웃음) 사실 어디 가서 펭수 작가로 홍보될 때마다 부끄럽거든요. 펭수 인형 들고 인터뷰 사진 찍어야 할 때면 혼란스럽고. 그렇지만 합니다. 자영업자 마인드! 남들이 어떻게 보든, 원하는 일을 위해서 한다.
보람
네, 지속 가능한 자영업을 위해서.
대화3
[사진: 김지성 jasonk17@naver.com]

기사가 좋았다면 눌러주세요!

좋아요 선택 버튼

염문경 X 김보람

염문경 X 김보람
염문경_배우/작가
연극 <로봇을 이겨라> 시리즈, <도처의 햄릿>, <퀴어한 낭독극장> 등에 출연했다. EBS <자이언트 펭TV>의 기획작가이며, 영화 <메이드 인 루프탑>, <모럴센스> 등의 각본에 참여했고, 단편영화 <현피>, <백야>를 만들었다. 에세이집 <내향형 인간의 농담>을 출간했고, 현재 EBS 유튜브채널 <딩동댕대학교> 방송반이다.
ymk890201@gmail.com

김보람_영화감독
영화감독이자 영화프로듀서.
영화<피의 연대기>로 서울독립영화제,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들꽃영화제에서 수상하였다.
<저수지게임> 프로듀서, <자매들의 밤>감독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