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너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메뉴 바로가기

공공극장은 누가 어떻게 운영해야?

서울문화재단 공공극장의 운영 방안 모색을 위한 공청회

김진이

제169호

2019.10.10

공청회의 배경
2019년 9월 30일 오후 2시, 동숭예술청((구)동숭아트센터)에서 서울문화재단 공공극장 운영 TFT 주최로 ‘서울문화재단 공공극장의 운영 방안 모색을 위한 공청회’가 열렸다. 이날 열린 공청회의 배경은 작년 말로 거슬러 올라간다. 2018년 12월, 서울문화재단은 남산예술센터와 삼일로창고극장을 지역문화본부 소속 팀으로 편제시킨 조직개편을 발표했다. 현장 예술가로 구성된 삼일로창고극장 운영위원회는 이 조직개편이 극장 운영의 독립성, 자율성을 침해할 수 있다는 판단에 근거, 이에 대한 공개 항의문을 서울문화재단 대표에게 전달했고 곧 예술계에도 공개했다. 이어 “공공극장의 운영원리와 독립성·자율성 보장을 위한 긴급토론회”(2019.01.11. 대학로연습실 다목적홀), “남산예술센터 2019 시즌프로그램 기자간담회”(2019.01.23. 남산예술센터), “예술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향한 연속포럼 #1 문화예술 현장은 지자체(정책-행정-제도)와의 관계 속에서 독립성과 자율성을 어떻게 지속할 수 있을까?”(2019.02.28. 서울연극센터) 등 공공극장 운영에 대한 공적 논란이 지속되었다. 이 공론화 과정은 지난 4월 ‘공공극장 운영 TFT’ 구성으로 이어졌다.
본격적인 공청회 현장을 스케치하기 전에, 이러한 배경을 밝힌 것은 ‘공공극장 운영 TFT’의 미션이 궁극적으로 서울문화재단 운영 공공극장의 독립성, 자율성, 책임성을 모색하는 데에 있지만, 그 구체화의 대상이 주로 남산예술센터와 삼일로창고극장이라는 (기실 쌓여온 역사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두 극장을 전제로 한다는 현실적 제한 때문이다.
‘공공성’이라는 의미 투쟁
TFT는 발제를 통해 공공성 개념은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다양성’을 공공성의 핵심 개념으로 제시하면서 국내외의 대표적인 사례들을 개괄했다. 발제 내용을 거칠게 요약한다면, 1) 극장의 미션 정립의 중요성과 그 절차, 공공극장의 법적 지위 및 성격, 극장 운영의 원리라는 쟁점 세 가지를 소개하고(발제 이양구), 2) 국립극단 및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사례 등을 통해 공공극장의 독립성, 자율성, 책임성을 검토하여 공공영역에서 예술이 추구하는 가치와 책임성을 강조하였으며(발제 노이정), 3) 영국 런던 사례를 통해 도시 생태계 안에서 공공극장이 어떻게 다양성과 독립성, 차별성을 가졌는지 살펴보았다(발제 최석규). 사실 이러한 내용은 현장에서도 언급되었듯 “50년 전에 얘기했어야 할” 다소 원론적인 주제들이었지만, TFT는 지난하지만 피해 갈 수 없는 논의 과정이었다고 전했다.
참여자들이 가장 궁금했을 발제는 아마도 TFT의 결과라고 할 수 있는 4) “서울문화재단 공공극장 운영 방안에 대한 (장·단기적인) 제언”이었을 것이다(발제 이승훈). TFT의 주요한 제언으로는 단기적으로 ① 남산예술센터와 삼일로창고극장의 서울문화재단 내 독립 본부 편제, ② 장기적으로는 공공극장 운영의 독립성 등 확보라는 궁극의 과제로 가기 위한 과도기 단계로 독립성과 실질적인 추진력을 가진 ‘특별위원회’ 도입이었다.
발제 이후 질의 및 토론은 참석자들 사이에 활발하게 논의가 오고 가는 ‘공청’이 되지는 않았지만 ‘공공성’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인상적이었던 질의 두 가지를 집약하여 해석하고 의견을 덧붙여 본다.
#누가? : 극장의 운영 ‘주체’는 누구인가?
‘예술가 고용’이라는 화두, 그리고 누가 극장 운영의 주체라는 ‘리그’에 진입하는가(기회의 문제)에 대한 질의가 있었다. 이것은 사실상 배우 등 예술 현장의 다양한 주체들이 극장 운영의 주체로 평등하게 참여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이었다. 몇몇 연출가와 기획자, 평론가 등 소수 전문가들만이 논의 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현실에 대한 다양한 주체의 참여 요구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 제기에 수긍도 가지만 “누구인가”에 대한 질문에 “누구이다”로만 대답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극장 운영의 주체가 (법적으로, 현실적으로) “누구이다”라는 대답보다 중요한 것은 공공극장이 ‘어떻게’ ‘우리 모두’의 극장이 ‘될 수 있는가’하는 질문이 아닐까.
#어떻게? : ‘관습’ 혹은 ‘관성’적인 운영 방식을 넘어
“왜 공공극장에서 대관료가 필요한가”라는 상당히 구체적인 문제도 제기되었다. 공공극장이 공적 지원금을 다시 대관료로 회수해가는 것이 적절한가 하는 문제 제기였지만, 필자에게는 공공극장 운영이 “구시대에 작동되어 왔던 시스템들을 고스란히 답습하는 형태”라는 질의자의 발언이 더 많은 고민을 하게 했다. 구시대에 작동되어 왔던 시스템을 답습하지 않으려면, 공공극장 운영에 대한 논의가 ‘개방성’, ‘공정성’이라는 절차적 공공성을 넘어 새로운 발상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차원의 가치도 함께 추구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공교롭게도 필자는 작년 12월 서울문화재단 조직개편이 진행되던 그 시점에 남산예술센터x삼일로창고극장에 입사했다. 극장에서 일하는 직원 입장에서 TFT의 제언을 고민해보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TFT의 단기적 제언들이 현실의 복잡한 맥락들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고 있는 점은 아쉬웠다. TFT 제언을 유동적인 것으로 만들어버리는 요인으로 2018년 초부터 공론화된 서울시와 동랑예술원의 임대 계약 종료 문제 등이 한 축에 주요하게 자리 잡고 있다.1) 당장 내후년을 기약할 수 없는 ‘공공’극장에 대한 제언이라는 것은 얼마나 불안정한 것인가.
  1. 서울시와 서울문화재단의 위탁계약 종료 시점은 남산예술센터가 2020년 12월, 삼일로창고극장이 2020년 6월이다.
[사진 제공: 서울문화재단 극장운영팀]

기사가 좋았다면 눌러주세요!

좋아요 선택 버튼

김진이

김진이
남산예술센터X삼일로창고극장에서 기획 및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사람이 만나는 장소로서 극장을 배워가는 중이다.
soggeto@naver.com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