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_역에서_영어는

      How to Triumph Like a Girl
       Ada Limon

      I like the lady horses best,
      how they make it all look easy,
      like running 40 miles per hour
      is as fun as taking a nap, or grass.
      I like their lady horse swagger,
      after winning. Ears up, girls, ears up!
      But mainly, let’s be honest, I like
      that they’re ladies. As if this big
      dangerous animal is also a part of me,
      that somewhere inside the delicate
      skin of my body, there pumps
      an 8-pound female horse hearts,
      giant with power, heavy with blood.
      Don’t you want to believe it?
      Don’t you want to lift my shirt and see
      the huge beating genius machine
      that thinks, no, it knows,
      it’s going to come in first.


번_역에서_한국어는

      여자애처럼 크게 이기는 법
       에이다 리몬

      나는 암말들을 최고로 좋아해,
      시속 40마일로 달리는 게
      낮잠 자거나 풀 뜯는 것만큼 재밌다는 양
      모든 걸 쉬워 보이게 하잖아.
      나는 그 암말 식의 뽐내는 태를 좋아하거든,
      승리한 뒤에 말이야. 귀를 세워, 여자애들이, 귀를 세운다고!
      하지만 대개는, 솔직해져볼게, 나는
      걔들이 암말이라서 좋아. 이 커다랗고
      위험한 동물이 내 일부라는 것처럼,
      내 몸의 연약한 피부 안쪽 어딘가에 8파운드짜리
      힘으로 거대하고, 피로 무거운
      암컷의 심장이 뛰고 있다는 거지.
      그걸 믿고 싶어지지 않니?
      내 셔츠를 걷어올려서 보고 싶지 않니,
      자기가 일등으로 들어오리라
      생각하는, 아니, 아는
      그 커다랗게 약동하는 끝내주는 기관을?



번_역에서_이 시는

   켄터키 옥스(Kentucky Oaks)라는 경마 대회가 있다. 미국의 3대 경마 대회 중 하나인 켄터키 더비(Kentucky Derby)의 자매 경기로, 켄터키 더비의 출전 조건이 3년생 말인 데 반해 이 켄터키 옥스에는 오직 3년생 암말만이 출전할 수 있다. 일종의 부속 여자 리그인 셈이다. 리몬은 가장 큰 경마 대회가 아니라 이 자매 대회에 간다. 그리고 경마 대회의 우승마가 아니라 이 대회에 출전한 “암말들”을 “최고로 좋아한다”고 쓴다. 멋들어지게 뽐내는 단단한 근육과 전혀 힘들이지 않고 내쳐 달리는 그 생생한 열기 때문만이 아니다. 리몬은 고백한다. “나는/걔들이 암말이라서 좋다”고. 평균 300킬로그램을 넘어서고 시속 65킬로미터에 준하는 속도로 달리는 이 3년생 암말들과 나는 전혀 닮은 바 없어 보이지만, 사실 내게도 “암컷의 심장”이 뛰기 때문에. 내쳐 달릴 수 있고, “여자애”로서 뽐낼 수 있고, 그리고 무엇보다도 “생각”할 필요도 없이, “약동하는” 심장이 있기에 “자기가 일등으로 들어오리란” 걸 저절로 알게 되는 “암컷의 심장”이 있기 때문에. 비평가 론 찰스(Ron Charles)는 이 시의 낭송을 듣고 이렇게 외쳤다. “페미니스트 찬가로군!”


번_역에서_우리는

   아선 : 이 시를 번역하면서 생각난 영상이 있어요. “여자애처럼 뛰는 건 어떤 거야?”라는 질문에 사람들이 각자 갖고 있는 ‘여자애’의 이미지대로 뛰는 모습을 흉내내는 영상.1) 기억하세요? 어떤 성인 남자는 무릎을 모은 채 이상한 자세로 뛰고, 어떤 성인 여자는 날리는 머리카락을 신경 쓰느라 제대로 뛰지 못하는 모습을 표현해요. 어떤 남자애는 엉덩이 흔들면서 뛰고. 그러다가 진짜 여자애들에게 똑같이 물어보거든요. “여자애처럼 뛰는 건 어떤 거야?” 그러면 이 여자애들은 전속력으로 뛰어요. 두 주먹 꽉 쥐고, 이 악물고. 딱 이 시 같았어요.

   주주 : 저도 그 영상 기억나요. 볼 때마다 눈물이 나던데(웃음), 이 시에는 여자애들에게 어떤 면이 있어서 좋다는 게 아니라, 그냥 여자애들이 여자애라서 좋다는 메시지가 들어 있잖아요.

   아선 : 시어 선정에서도 그런 게 드러나요. 낭송회 같은 데서 이 시를 소개할 때 리몬은 ‘filly’라는 단어를 쓰거든요. ‘암망아지’라는 뜻이에요. 그런데 시에는 그 단어가 전혀 나오지 않고 “female horse” “lady horse” “girls” “ladies” 등 성별을 드러낼 수 있는 시어들이 등장해요. 말(horse)을 특정하기보다 “여자애”를 떠올릴 수 있는 장치를 심어둔 것처럼 느껴져요.


   지민 : 그 부분 번역하기 어려운 것 같아요. 그렇다고 말인 걸 지워버릴 수도 없는 맥락이고.

   아선 : 맞아요. 제가 여러분께 도움을 구하는 부분인데(웃음), 말을 가리키는 단어들이 1행, 5행, 8행, 12행에 나오는데 각각 조금씩 달라요. 기본적으로는 전부 암말을 가리키는 시어들이지만, ‘female’과 ‘lady’가 함의하는 건 다르니까. ‘lady’의 사전적인 의미를 살펴보면 암컷을 조금 정중하게 부르고 싶은 시인의 의도가 녹아 있는 것 같아요. 그래서 “lady horse”를 “암말”이라고 번역했는데, 12행의 “female horse”는 좀더 동물적인 감각을 살려야 할 것 같아서 “암컷”이라고 했어요.

   지민 : 저도 그렇게 구분하는 게 옳다고 생각해요. 경마장의 말들도 ‘lady’고 자신도 ‘여성’이라는 일종의 동질감이 화자에게 형성된 다음에 등장하는 시어가 12행의 “lady horse”잖아요. ‘female’이라는 속성을 공유하는 존재들로서 공동의 기반이 생긴 거죠.

   주주 : 한국어에서는 확실히 ‘암컷’이라는 말이 좀더 동물적인 감각을 주는 것 같아요. 인간도 포함되고. 저는 시인이 “female”이란 시어를 선택해서 ‘암컷’이란 말의 감각 혹은 동물성이 전달되게끔 구조해놓은 것에 좀더 주목해보고 싶어요. 사십대 이후 여성의 정신적, 신체적 문제를 조명하는 웹사이트 ‘변화를 위한 여성의 목소리 Women’s Voices for Change2)에서 이 시를 소개한 적이 있는데요. 시인이 직접 작성한 작가 노트를 보면 리몬은 자신이 상실감에 휩싸일 때나 약하다고 느껴질 때면 동물들의 격렬함, 그들이 절실히 짜내는 힘의 감각에 대해 생각한대요. 그러면서 이 시를 여성들, 소녀들, 결승점을 통과하기 위해 싸울 이유가 필요한 사람들을 위한 시라고 설명하더라고요.


   아선 : 같은 맥락에서 제목도 그냥 ‘win’이나 ‘beat’가 아니라 “triumph”라고 한 게 의미가 있겠죠. 사실 이 시에서는 상대를 특정해놓고 그 상대를 이기는 게 중요한 게 아니거든요. ‘triumph’는 훨씬 크고 장엄한 개념이잖아요. 성취를 감각하는 것과도 관련이 있고.

   지민 : 원문을 구현하려거든 ‘승리하다’라고 번역하는 게 맞다고 생각했는데, 이 시가 여성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나 의지가 담겨 있다는 걸 감안하면 “크게 이기다”라는 제목이 받아들여졌어요. 좀더 멋을 부린 제목이니까 눈길을 끌기도 하고.(웃음)

   해동 : “triumph”라는 시어는 5, 6행에서 화자가 그려낸 말들의 태도와도 닮아 있어요. 개선장군 들어오는 듯한 태도 있잖아요, 사람으로 치면 어깨 이렇게 펴고 의기양양하게 걷는 모습. 말이니까 귀를 세우는 것일 테고. 다른 상상도 가능해요. 이기고 들어왔으니까 귀 쫑긋 세워서 사람들의 환호를 들어보라는 거라든가.

   주주 : 하지만 결국은 아무 말이나 보여줄 수 있는 ‘뽐내는 태’(swagger)가 아니라 “lady horse”만 보여줄 수 있는 태가 있다는 게 이 시의 명확한 메시지인 것 같아요.


   아선 : 사실 영미시에서 말은 이렇게 동원되어오지 않았잖아요.

   지민 : 이렇게 암말이라고 특정되는 경우도 많지 않죠.

   해동 : 프로스트(Robert Frost)의 시를 생각해보면 그래요. 「눈 내리는 저녁 숲가에 서서 Stopping by Woods on a Snowy Evening」를 생각해보니까, 화자는 늘 말과 함께 다니는데, 자기 주인이 맨날 가던 곳에 안 가고 망설이니까 이 말이 이상해서 목에 매단 벨(bell)을 흔들거든요. 뭔가 잘못된 게 있냐면서.

   정민 : 화자의 심경을 읽고 어떤 액션을 취하는 존재로 나오는 거네요.

   아선 : 라이트(James Wright)의 시 「은총 A Blessing」도 약간 비슷한 맥락이에요. “두 마리 인디언 포니”(two Indian ponies)가 숲에서 나와서 나와 친구들을 반겨주는 구절이 나오고, 깜깜한 밤에 그 말 두 마리가 한가롭게 풀을 뜯는데, 화자가 그 말들과 교감하거든요. 그러다가 막바지에 “나는 갑자기 깨달았다/ 내가 만약 내 몸 밖으로 걸어나왔더라면 나는/ 피어나리라는 걸”(Suddenly I realize/ That if I stepped out of my body I would break Into blossom)이라고 시를 마쳐요.

   주주 : 말을 통해서 나의 서정을 그려내는……

   지민 : 휘트먼(Walt Whitman)의 시는 더해요. 「나 자신의 노래 Song of Myself」를 보면 32번 섹션에서 말의 멋지고 탄탄한 모습에 대해 경이로워하고 (여기엔 “stallion”이란 단어로 말을 지칭해요, 종마, 씨말 등을 의미하고요) 거기에 올라타는 나 자신에 대한 묘사가 잠시 나온 다음에 “하지만 나는 너를 잠시 이용하고, 내려온단다, 종마여/ 나 자신만으로도 그들을 앞서갈 수 있는데, 너의 속도가 어째서 필요하겠는가?/ 내가 서거나 앉아만 있어도, 그대보다 빠르게 달릴 텐데.”(I but use you a moment, then I resign you, stallion;/ Why do I need your paces, when I myself out-gallop them?/ Even, as I stand or sit, passing faster than you)라고, 정말로 말을 이용하죠.

   아선 : 확실히 그런 시들과 리몬의 시는 다른 것 같아요. 지금 거론된 시들을 거칠게 정리해보면 결국 나의 이야기를 하기 위해서 말이 동원되는 거라고 볼 수 있는데, 리몬의 시는 정말로 화자와 말이, 그리고 독자인 제가 동기화된 느낌이 들었거든요. 말을 통해서 나를 긍정하고 이해해보려는 시도이면서도 그 말과 분리된 나만의 서정을 그리지는 않잖아요.

   정민 : 번역하시는 과정을 보면서 저는 암말의 폭발적인 에너지에 압도당하는 상상을 했어요. 어쩌면 나의 심장도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거대한 힘을 갖고 있지 않을까, 계속해서 “암말”의 자리에 저를 넣고 싶더라고요. 그리고 시를 반복해서 읽을수록 ‘말’(horse)이 ‘말’(word)이 될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어요. 암말이 여성의 말(word)인 거죠. 당당하고 단단한 어조로 자신의 말을 부드러우면서도 힘있게 읊는 여성들의 말이요. “나는 그 암말 식의 뽐내는 태를 좋아하거든/ 승리한 뒤에 말이야. 귀를 세워, 여자애들이, 귀를 세운다고!” 할 때의 태도도 정말 완벽하게 들어맞았어요. 자신의 힘을 믿고 있는 여성들의 말을 들을 때면 저는 그들에게서 어떤 “뽐내는 태”가 흘러나오는 걸 보고 힘을 얻었거든요!

   주주 : “자기가 일등으로 들어오리라”는 걸 생각하는 게 아니라 그냥 “아는” 그런 태도 말이죠?(웃음)


번_역에서_흐르는 말은

총 1분 11초.

   ‘말(horse)’은 도착하자마자 다시 여정을 떠나 다른 ‘말(word)’에게로 향했다.

   드넓은 초원을 힘있게 질주하는 암말이 그들의 강한 심장을 당찬 태를 지닌 그녀들에게 흔쾌히 건넬 때 음성과 의미의 경계가 무너지는 반가운 폭발음이 들렸다.

   암말은 그녀가 되었고, 그녀들의 말은 나의 언어가 되었다.
   이 시가 운명적으로 다가오기 시작한 순간이었다.


   작업 노트 1

   #번역
   다른 분들도 비슷하지 않을까 싶은데, 저는 번역하기 막막한 문장을 만나면 유튜브를 켜요. 그러다가 삼천포로 빠지기도 하고요. 유튜브에 시 낭독 영상이 정말 많아요. 이번 시의 경우, 화자의 어조(tone)가 약간 달라진다는 점에서 6행 “Ears up, girls, ears up!”이 번역하기 어려웠는데 아선이 공유해준 낭독 영상이 큰 도움이 되었어요. 미국 국립예술기금위원회에서 주관하는 시 암송 대회에서 뉴욕주 챔피언을 차지한 폴란코(Zaida Rio Polanco)의 낭독 영상인데요, 처음에 저는 6행을 들뜬 화자가 경마장 안의 말에게 직접 소리치고 환호하는 문장이라고 생각했거든요. 그런데 폴란코는 오히려 이 부분에서 혼자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고 옆 사람에게 속삭이는 사람처럼 목소리를 죽이더라고요. 이 또한 폴란코 개인의 읽기이지만 들으면서 충분히 가능하고 멋진 해석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리고 앞으로도 번역에 유투브를 적극 활용해야겠다고 다짐해봅니다.(웃음) _주주

   일반적으로 번역은 혼자 하는 작업이라 생각하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번역은 절대 혼자 할 수 없는 작업이라고 생각해왔거든요. 제가 그동안 크고 작은 번역들을 하면서 여러분들 의견을 종종 물었던 것처럼. 그러면 또 여러분들이 함께 고민해준 것처럼.(웃음) 그런데 이렇게 함께 번역할 판을 벌이고 나니 나란히 선 동지들이 생긴 것 같아서 정말 든든했어요. 이게 맞나? 저게 맞나? 혼자 고민할 필요가 없었으니까. 게다가 맨날 우리끼리 글로만 시를 풀다가 정민님이 영상으로 시를 번역해주시니까 그건 또 얼마나 새로웠는지…… 영상 처음 봤을 때 소름끼쳤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해요. 아참! 리몬이 미국의 24대 계관시인이 되었다는 소식 들으셨나요? 처음에 시 사용 허락을 구하는 메일을 보냈더니 웹진 발행되면 꼭 링크 달라고 했었는데, 링크 보내드리면서 정말 정말 축하한다는 말을 전해야겠어요. 리몬 시 정말 정말 좋으니까 이번 기회에 한국에서도 시집이 번역되었으면 좋겠고! _아선

   #여성, 시
   여성 작가가 쓴 시, 여성 화자가 등장하는 시, 여성에 대한 주제를 다루고 있는 시. 이 시의 번역을 합평하면서 “여성시란 무엇인가”라는 고민은 자연스레 따라오는 것이었는데요. 왜냐면 맨 처음에 원문으로 읽었을 때는 너무도 당연하게 여성시로 분류했거든요. 그런데 그러다보니 “왜 이게 당연하지?”라는 의문이 드는 거예요. 위에서 언급한 조건 중 하나를 들어 유일한 여성시의 조건이라고 부르기엔 어렵고, 그렇다고 이 조건들 모두를 충족하는 시만 여성시라고 부를 수도 없는 것도 당연하고. 시에도 벡델 테스트가 있을 수 있을까? 같은 고민이 있었어요. 결국 제 선에서 답은 나오지 않았지만, 이 시가 주제적으로 여성의 역동적인 힘을 강조하고 있다는 건 확신할 수 있었고. 그건… 정말 생각하는 게 아니라 “아는” 것의 범주에 든달까. _해동

   #말놀이
   시를 번역할 때 언제나 고민을 하게 되는 지점은 말의 순서에 있잖아요. 원문의 언어 순서를 그대로 구현하자면 번역시의 가독성이 떨어지기도, 우리말로 읽기 쉽게 풀어서 옮기자면 원문에서 느낄 수 있는 말놀이의 재미를 느끼기 힘드니까. 이번 번역에서 이런 고민이 명쾌하게 해소된 지점은 시의 17행 “생각하는, 아니, 아는”(that thinks, no, it knows)이었어요. 자신감으로 가득 찬, 약동하는 심장을 지닌 암말의 존재가 어느새 화자의 마음에 자리하며 좁혀지는 거리가 “그것”(that)에서 “이것”(it)이라는 주어 변형으로 구현되잖아요. 네 음절의 “생각하는”과 두 음절의 “아는”으로 나타나는 음절 변화를 통해 원문의 의도를 형식적 변화로 꾀한 번역… 멋있어… 최고야… 시 최고… _지민

   이미 번역된 언어를 받아들이기만 했던 제게 이번 작업은 언어에 대한 상상력을 키울 수 있는 전환점이 된 것 같아요. 전에는 번역의 과정을 거치는 그사이에 머물러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번역된 문장 하나의 해석만을 받아들였어요. 여러 갈래의 길이 있고, 또 이 길을 선택하는 고민의 시간이 있는지 깊게 들여다본 적 없었죠. 개인적으로 가장 흥미로운 지점이자 마치 새로운 우주를 발견한 것처럼 흥분되기도 했어요. 제 역할은 팀원분들과 독자 사이 그 어느 중간에 있는 것 같아요. 그래서 더 유연하게 시를 받아들일 수 있었고요. 영상 작업을 준비하면서 저는 다시 번역 과정을 거쳤다고 생각해요. 영문에서 국문으로 국문에서 저만의 언어로요. 시와 마치 놀이를 한 기분이 들었어요. 특히 리몬의 시는 읽으면 읽을수록 강인함과 무언가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느낄 수 있었죠. ‘번_역에서’라는 프로젝트 이름처럼 저희는 작업 동안 여러 역을 거쳤어요. 이제 다음 역에서 기다리고 있을 독자분들이 번역 과정에 자유롭게 동참해주셨으면 하는 마음이에요. 리몬의 시를 본인의 세계로 초대하여 읽고 마음껏 받아들이시길 바라요! _정민


흡사

영문학 전공자 박선아, 박민지, 반주리, 백재원과 디자이너 김민정으로 이루어진 시 번역 그룹입니다. 언어와 이미지로서의 번역을 통해 다음 역으로 나아갑니다.

2022/07/26
56호

1
유튜브 채널 ‘Always’의 영상 〈always #likeagirl〉 바로가기
2
웹사이트 ‘변화를 위한 여성의 목소리 Women’s Voices for Change’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