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의 말
   2014년 9월, 세월호에서 돌아오지 못한 304명을 기억하기 위해 시작한 ‘304 낭독회’가 2022년 12월에 100회째를 맞습니다. 작가들과 시민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304 낭독회는 떠난 이와 떠난 이를 잇고, 떠난 이와 남은 이를 잇고, 남은 이와 남은 이를 잇는 ‘연결’이 되고자 합니다. 《비유》에서는 문학으로 잇는 이 연결이 더 멀리 더 오래 기억될 수 있도록, 304 낭독회 100회 특집 기획에 함께하는 지면을 제공합니다. 304 낭독회에서 마련한 이 기획은, 304 낭독회의 매회 제목으로 사용된 96개의 문장을 토대로 한 시와 304 낭독회의 그때와 지금 그리고 내일에 관한 이야기를 담은 에세이를 4회에 걸쳐 연재합니다.


  [특별 원고 3]
  사람의 시1)
  강지혜

   낭독을 했다
   그 날

   「무정박 항해」2)

   거짓된 화면을 보며
   모두 살아 돌아오라고

   돌아오라
   돌아오라
   살아오라

   아이가 태어났다
   이 후

   말없는 너에게
   입을 맞추며
   주문처럼 되뇌었다

   미안해 정말
   미안해
   미안해
   사랑해 정말

   바다에 버려진 수많은 뽀뽀들이
   파도 속을 헤매다
   거품으로 부서지면

   밀려온 포말이
   사랑의 다짐들이
   사람의 말들이
   필연처럼
   발에 다리에
   가슴에

   남아서 새겨져서

   시를
   낭독해야 했다
   사람을
   낭독해야 했다

   모두를
   낭독해야 한다

   이어지도록
   살아 있도록
   돌아오도록

   모두의 낭독회에서
   끝내
   태어나도록




  그대로 있는 자리
  최지혜

   2019년부터 작년까지 3년간 단원고등학교 국어교사로 일했다. 근무 동안 어느 자리에선가 나를 소개할 때 학교 이름을 붙이면 듣는 이들의 표정이 미묘하게 달라지곤 했다. 내가 발령받은 것은 참사 이후 5년이 된 시점이었는데도, 학교의 상황에 대해 묻는 이들이 많았다. 그들은 단원고, 라는 말을 듣는 것만으로도 가슴이 내려앉는다고 했다. 나 역시 마찬가지여서 발령 초기에는 단원고 교사로서의 역할에 대한 부담을 느낀 적도 있었다. 그러나 감정적 반응은 시간이 갈수록 흐려졌다. 그곳은 내게 일터이자 삶의 공간이었다.

   단원고에서 세 번의 4월 16일을 보냈다. 첫해에는 대형 강당에서 기억식이 있었다. 유가족과 교사, 학생들이 모였다. 외부에서 온 취재진의 수도 많았다. 기억식이 끝난 후에는 아이들과 교실에 돌아와 동그랗게 책상을 붙이고 모여 앉아 리본을 만들었다. 아이들은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그해 열일곱이었던 아이들은 사건 당시 초등학교 5학년이었고 수학여행 시즌이었으니 경주로, 지리산으로 떠나던 중이었다고 했다. 그런데 여행이 갑자기 중단되었다. 선생님들이 큰 사건이 일어났음을 알렸고, 아이들은 부모로부터 걱정하는 전화를 받았다. 그날 이후 매일 저녁 TV 오른쪽 상단에 희생자 수가 늘어갔다. 믿기 힘든 매일이었다. 주변에 친구의 언니 오빠를 비롯해 희생자 혹은 유가족과 연결된 이들이 많았다. 그들은 이웃이었고 분향소가 있던 화랑유원지는 아이들이 가족, 친구와 함께 걷는 산책로였다.

   이야기를 나누는 사이 리본은 충분히 많이 만들어졌다. 매년 4월 16일에 만드는 노란 리본은 낡은 리본을 새로 교체하기 위한 것이다. 학교 담장에는 일 년 동안 매달려 볕과 비와 바람을 맞으며 색이 바랜 리본이 달려 있었다. 반 전체가 교정을 돌면서 헌 리본을 떼어내고 새 리본을 달았다. 아이들은 남은 리본을 가방이나 필통에 달기도 했고, “쌤, 이거 가져가서 누구 줘도 돼요?” 하면서 주머니에 넣기도 했다. 오후에는 희망하는 아이들과 기억 교실에 가면서 일정이 마무리됐다. 학교에서 기억교실로 향하는 원고잔공원 옆길에는 벚꽃나무가 심겨 있다. 사월 중순 그 길엔 벚꽃 터널이 드리운다. 일 년 중 가장 아름다운 때다. 나는 반 아이들 다섯 명과 벚꽃 길을 걸어 기억교실로 향했다. 아이들은 가다가 멈춰 서 사진을 찍기도 하고, 떨어지는 꽃잎을 잡아보려고도 했다. 등에 멘 가방에는 노란 리본이 흔들거렸다.

   세월호의 슬픔을 가까이에서 접하며 자란 아이들에게 내가 어떤 이야기를 할 수 있을까. 막막하면서도 학교 전체 행사가 아닌 교실 안의 추모 수업을 하고 싶었다. 수업을 기획하는 데는 우연한 기회에 304 낭독회에 청자로 참여한 일이 계기가 됐다. 2018년 연희문학창작촌에서 열린 마흔아홉번째 304 낭독회였다. 낭독자들은 한 사람씩 소리 내 준비한 글을 읽었다. 단지 그뿐인데도 무언가를 나누고 있음을 분명히 느낄 수 있었다. 잠시 다른 시공간에 머문 것만 같았다. 슬픔을 나누기 위한 자리를 만들고 목소리 내기, 나는 이 특별한 경험을 교실에서 재현하고 싶었다. 우선 아이들과 함께 읽을 만한 글을 모아 자료집을 만들었다. 수업 전에 낭독자를 정한 다음 책상으로 큰 원을 만들어 둘러앉았다. 교실 안에는 조용한 가운데 낭독자의 목소리가 퍼졌다. 들으며 눈물을 흘리는 아이가 있었고, 그 옆에서 다독이는 손길이 있었다.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으로 기억식과 추모수업을 했던 2020년을 지나 2021년, 아이들은 고3이 되었다. 인문계 고등학교의 고3은 감염 방지를 위한 등교 제한 지침에서도 예외로 매주 등교했다. 이들과 함께 4월 셋째 주에 기억을 위한 수업을 하기로 했다. 그리고 이번에는 작가들의 글을 읽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써보기로 했다. 아이들의 시와 에세이에는 고잔동에서 유년 시절을 보내고 단원고 학생으로 살면서 느낀 바가 담담하게 드러났다. 나는 아이들이 쓴 글을 304 낭독회에 전달하기로 했다. 내가 느꼈던 울림을 공유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렇게 2021년 6월 여든두번째 304 낭독회에서 아이들의 글을 낭독하게 되었다.

   여기저기에 4월 16일마다 세월호 행사가 생겨났다. 이날을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큰 사건이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행사를 진행했다. 그런데 벌써 7년이나 지났고 많은 행사들이 사라졌다. 7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유가족들은 얼마나 슬펐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숙연해진다. 세월호 사건에 무뎌진 사람들에게도 조금은, 아주 조금이라도 관심을 가져달라고 말하고 싶다. 단원고로 진학한 후 가는 곳마다 사람들이 물어보았다. ‘단원고…? 거기 괜찮아…? 세월호…….’라는 말을 자주 들었다. 솔직히 듣기 싫었다. 왜 안 좋게 보는지. 괜찮은데, 기억만 해주지. 행사를 할 때도, “그거 아직도 해?”라는 말을 들었다. 자신들의 일이 아니라고 그렇게 말하는 사람들이 싫었다. 우리에게는 그날을 기억해주었으면 하는 바람이 가득 들었다.
― 최유정(2022년 졸업생), 「잊을 수 없는 기억」 중에서

   유정이의 글에는 “그거 아직도 해?”라고 물었다는 주변 사람들의 반응이 등장한다. 그 밖에도 많은 아이들의 글에 “나는 단원고 학생이기 때문에 이런 자리를 가질 수 있지만……”이라는 표현이 자주 보였다. 나는 가슴이 아픈 동시에 계속해서 목소리를 이어갈 수 있는 자리가 필요함을, 그에 감사함을 느꼈다.

   나는 아이들이 졸업할 즈음 출산을 했고 올해는 육아휴직을 해 학교를 떠나 있다. 고요한 가운데 4월을 보냈다. 완전히 달라진 삶의 공간에는 기억식도, 글을 함께 나눌 아이들도 없다. 혼자서 조용한 애도를 할 뿐이다. 유아차를 끌고 산책하던 중에 벚꽃을 바라보면서는 지아의 시를 떠올렸다. 올해도 고잔동에는 벚꽃이 어여쁘게 피었겠지 하고. 지아의 시에서 벚꽃은 사탕처럼 달콤하게 아름다우면서도 입 안을 할퀴듯 아프다. 그토록 아름답고 아픈 대상에게 “따뜻한 햇살을 모아 찾아가”는 마음. 그 마음이 매년 피어나는 거리는 거기 그대로 있을 것이다.

   나는 우리 동네

   따뜻한 햇살을 모아
   찾아가네

   영원한
   어여쁜
   나만의 벚꽃 사탕
― 신지아(2022년 졸업생), 「벚꽃 사탕」 중에서

   글을 다시 열어 보며 동그랗게 앉아 목소리를 낸, 손으로 꼭꼭 눌러 글을 쓴 아이들이 있었기 때문에 그 앞에 선 내가 있었음을 새삼 깨닫는다. 우리 슬픔을 나누자고 이야기한 나 때문이 아니라, 함께해준 아이들이 있었기 때문에 교실 안의 연대가 가능했다. 나는 이제 교실 밖에 있고 다시 304 낭독회에 목소리 하나를 보탠다.

강지혜, 최지혜

강지혜: 제주에 살며 시와 에세이를 씁니다. 사람이 적은 시골에서 큰 개와 작은 아이를 키웁니다.
또다시 사람들이 죽는 세상에서 사람을 낳아 기른다는 것에 대해 자꾸 생각하게 됩니다.
사랑을 낳았다며 기뻤지만 이곳은 춥고, 어둡고, 비참합니다. 그러나 작은 아이는 온 힘을 다해 사람으로 자라나고 있습니다.
사람에게 뽀뽀를 하며 이곳에 살아 있겠습니다.
최지혜: 국어교사. 육아휴직을 마치고 복직하면 아이들의 목소리를 더 많이 듣고 싶습니다.

2022/11/29
60호

1
세월호에서 돌아오지 못한 304명을 기억하기 위해 작가와 시민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304 낭독회’의 제목으로 사용된 문장들을 토대로 하여 쓴 시입니다.
2
그날, 동료들과 서울 모처에서 낭독회를 하고 있었습니다. 공교롭게도 「무정박 항해」라는 시를 읽었습니다. 내 동생을 위해 쓴 시였습니다. 새로운 시를 쓰고 있습니다. 새롭게 태어난 수많은 다짐, 새로운 뽀뽀를 위해.